반응형

    샛강역에서 서울대앞까지 16분 만에 이동할 수 있는 신림선이 2022년 5월 27일 개통 소식입니다. 2021년 11월부터 2022년 1월까지는 신림선 전 구각의 시설물검증시험, 2022년 1월부터 4월까지 시운전을 진행 5월에 개통됩니다.

     

     

    도시철도 신림선은 총 11개 정거장으로 연결되었는데 지하철 1, 2, 7, 9호선으로 환승이 가능함에 따라 지옥철이라고 불리는 서울지하철 교통편의가 많이 개선될 것 같습니다.

     

    경전철 신림선

    신림선은 경전철로 3량 1편성으로 총 12편성이 무인운전 시스템으로 운행됩니다. 

    운영자는 남서울경전철 주식회사에서 사업을 시행, 운영 및 유지보수는 Roem SRS, 관제 및 기술지원은 

     

    신림선은 9호선 샛강역에서 시작해 1호선 대방역, 7호선 보라매역, 2호선 신림역을 경유, 서울대 앞까지 총 연장 7.8㎞를 연결하는 경전철입니다.

     

     

    차량기지 1개소 및 1호선, 2호선, 7호선, 9호선 환승정거장 4개소를 포함 총 11개의 정거장이 운영됩니다.

     

    배차 시간은 출퇴근시 3.5분 / 평상시 4~10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최고 운영속도 60㎞/h로 1일 최대 13만 명 수송이 가능합니다.

     

    신림선 노선도

    신림선은 샛강역이 기점이고 관악산역이 종점으로 총 11개의 전철역을 운영합니다. 

     

     

    101 샛강역은 9호선으로 환승이 가능

    102 대방역은 1호선으로 환승이 가능

    103 서울지방병무청역

    104 보라매역은 7호선으로 환승이 가능

    105 보라매공원역

    106 보라매병원역

    107 당곡역

    108 신림역은 2호선으로 환승이 가능

    109 서원역

    110 서울대벤처타운역

    111 관악산 서울대역

     

    차량기지는 보라매차량사업소로 보라매공원역과 보라매병원역 중간에 위치합니다.

     

     

    객실 간 연결통로를 개방하고 운전실과 객실을 통합하여 이용 승객에세 개방감을 줄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또한 각 정거장 및 전동차 내부에는 승객들에게 쾌적하고 깨끗한 실내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초미세먼지를 포집할 수 있는 공기정화장치가 설치되어서 자동으로 가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국내 최초로 차세대 무인운전 시스템인 국산 신호시스템이 도입된 신림선 도시철도는 기관사 없이도 차량 출발, 정지 등 열차 운행의 진로, 차량 출입문, 스크린도어 등이 종합관제실에서 조정제어가 가능해 만일에 발생할 수 있는 기관사의 인적오류로 발생하는 열차사고 및 장애를 줄일 수 있습니다.

     

    첨단시스템이 도입된 신림선 경전철이지만 무엇보다 출퇴근 시간이 되면 이용자가 많은 서남권 지역에 도시철도 개통이 되면 많이 편리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